교토 서쪽 교외에 터를 잡은 아라시야마風山의 대나무숲길을 한없이 걷다 보면 아카류슈고赤龍

아카아시 家는 데릴사위를 들여 적통을 이어나가는 방식을 고수했다. 사 대가 내려올 때까지만 해도 운명처럼 여아를 출산했는데, 오 대째에서 문득 처음으로 남아를 낳게 된 것이었다. 조모는 사내라 하더라도 가업을 전수하는 일에 있어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집하는 사람이었다. 그녀는 이 아이에게 케이지라는 이름을 붙이고 붉은 강보를 둘러 키웠다. 여느 곱슬머리의 아이들과는 달리 어투가 단정했고 차분했다. 처음 세상에 났을 때 어머니의 부름보다도 박새의 지저귐을 가장 먼저 들은 아이는 또래가 없이 자란 탓인지 말수가 적고 낯을 가렸다. 케이지는 집안의 손윗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조그만 산짐승들과 어울리는 것이 좋았다. 홀로 별당의 툇마루에 앉아있노라면 사람의 목소리가 아닌 것들이 귀에 들어왔다. 겁도 없이 손가락 위에 내리 앉는 직박구리의 지저귐, 다람쥐가 나무를 오르며 부리는 발재간, 죽창의 꼭대기부터 지상의 해당화 이파리들까지 어루만지는 미풍의 입김. 그리고 이따금 정체 모를 속삭임들이 드높은 하늘로부터 어지러이 쏟아져, 나무와 나무 사이를 돌아나는 바람을 타고 사라지곤 했다.

 

케이지의 일과는 단조로웠으나 결코 쉽게 볼 수만은 없었다. 그가 그 누구의 도움이 없이도 스스로 마당을 돌아다닐 수 있게 되었을 때부터 조모와 모친은 그를 신사 뒤켠에 있는 언덕의 사당으로 데려가기 시작했다. 매일 동이 트기 전 발걸음을 하여 정수를 떠다 바치고, 언덕 정상에서 뺨에 피는 홍조와 같은 일출을 보고 하산했다. 신사로 돌아오면 문간 곳곳이 내린 발을 걷고 먼지를 털고 바닥을 쓸었다. 아침은 흰 쌀밥과 간장, , 머위뿌리, 연근과 바짝 말린 소의 살코기였다. 식사를 마치면 바로 구슬을 만들어야 했다.

 

구슬은 일 년에 네 번, 사당에 모신 영물에게 바치는 공물供物이었다. 승천한 적룡이 입에 물었다는 구슬을 형상화한 것이었다. 아라시야마에 인접한 동네 대장간에서는 유리를 한 묶음 싣고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신사를 찾아왔다. 모친은 유리 한 판을 대청에 남겨두고 나머지를 창고에 쟁여놓았다. 이어 조모가 가마에 불을 떼면 케이지는 합판과 염료를 내왔다. 염료는 전에 만든 구슬에 색을 입히기 위함이었고, 합판은 새로이 들여온 유리로 구슬을 만들기 위함이었다. 유리 한 판이 가마에서 모조리 용융되면 솥에 옮겨 부어 내왔다. 그러고 나면 세 사람이 모여 앉아 극비棘匕로 유리를 떠서 합판에 동그랗게 파인 홈들을 채워 넣었다. 합판이 다섯 개 정도 채워지면 뒤뜰 장독과 함께 땅에 묻어 냉각시켰다. 이미 굳은 구슬들은 꺼내어 염료에 담갔다 빼낸 후, 마당에 내놓고 말렸다. 구슬을 만들고 나면 전병과 향초로 늦은 점심식사를 했다. 이후에는 휴식을 취했다.

 

모종의 일과가 끝나고 나면, 케이지는 어김없이 고요한 별당으로 향했다. 감색의 하카마로 갈아입고 책을 읽거나 유백색 이불에 몸을 만 채로 오후 단잠에 빠지곤 했다. 비가 쏟아지는 날에도 방 안보다는 마루에 나와 있기를 더 좋아했다. 그럴 때는 대개 해를 가린 잿빛 구름과 어둔 빗줄기로 시야가 컴컴했기 때문에 차라리 눈꺼풀을 닫고 있었다. 귀만 열어둔 채 미약하게 숨을 쉬었다. 빗방울이 묵직하게 해당화 꽃잎을 두드리는 소리, 하늘 저편에서 울려 퍼지는 아득한 천둥소리를 먹먹히 들었다. 그러다 보면 여느 때처럼 정체를 알 수 없는 중얼거림, 빗소리에 불순물처럼 섞여 드는 미묘한 잡음이 귓속으로 흘러 들곤 했다. 케이지가 이것의 정체를 육안으로 처음 확인했던 것은 그가 생의 열다섯 번째 장마를 맞던 어느 여름의 일이었다.

 

케이지는 빗발과 꼭 닮은 청벽색의 장옷을 두른 채 마루 위에 웅크려 앉아있었다. 무릎을 세워 팔뚝을 감싸 안고, 그 안에 머리를 모로 기대어 선잠을 청하던 중이었다. 베틀에 매인 실처럼 가닥가닥 곧게 낙하하는 빗줄기 사이를 불청객이 흔들었다. 케이지는 설핏 감았던 눈을 뜨고 고개를 들었다. 흐리게 멍울진 빗줄 너머로 백발을 늘어뜨린 사람이 시야에 들어왔다. 하얗게 샌 머리카락은 물웅덩이로 진창이 된 땅에 끌릴 정도로 길었다. 무성하기도 하여 얼굴을 죄 가리우는 것이었다. 그 사이로 실핏줄이 발딱 선 눈자위 하나만이 또렷하게 보였다. 케이지는 턱을 무릎에 얹은 채로 꿈쩍도 하지 않았다. 온몸을 휘어잡은 기묘한 느낌에 불현듯 손발이 언 탓이었다. 숲에서 쪽문으로 잘못 들어온 객인이 아닐까. 어머니를 모셔와 안내해야겠다는 생각이 번뜩 들었다. 케이지는 스스로 품을 옥죄고 있던 팔짱을 찬찬히 풀었다. 마루를 짚고 엉거주춤 일어나며 입을 열었다.

 

어머니……

 

그 순간, 객인이 손을 들어 검지를 곧추세웠다. 그리고는 손가락을 얼굴 언저리에 갖다 대었다. 케이지는 목기둥을 붙잡은 채로 입술을 봉했다. 객인은 여전히 충혈된 눈을 끔찍하게도 둥그러이 뜨고 있었다. 꼿꼿하게 세운 검지를 여전히 입가 어디쯤엔가 붙인 채였다. 말하지 마. 아무런 언어도 오가지 않았지만 케이지는 그가 침묵을 내의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챘다. 주색의 꽃잎 사이에 구물구물 기어가는 유록빛 벌레를 본 듯 선뜩하고 짜릿한 이질감이 온몸을 압도했다. 케이지는 한참 만에야 이 낯선 감정의 정체를 깨달았다. 그는 검지를 제외하고 고이 말아 쥔 객인의 손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봉긋이 튀어나온 목젖이 파도를 탔다. 침이 꼴깍 넘어갔다. 그의 손가락이 일곱 개였던 것이다.

 

객인이 물감이 번지듯 서서히 희미해지고, 이내 완연히 빗속에 젖어 사라지고 나서도 케이지는 한참 기둥 옆에 오도카니 서있었다. 그건 사람이 아니었어. 요괴가 분명해. 이윽고 다리가 풀린 케이지는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중얼거렸다. 홍등을 처마 밑에 매달고 저녁식사를 하는 자리에서, 문득 그의 안색이 파리하게 질린 것을 깨달은 모친이 이마를 짚으며 걱정했으나 케이지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끝까지 털어놓지 않았다. 벌건 눈으로 수풀 사이에서 오롯한 시선을 보내며 입술 위에 검지를 세우던 요괴의 잔상이 오래도록 머릿속에 남아있었기 때문이었다.




+ Recent posts